에기연, 집단에너지 기술전략 세미나 개최
에어컨 대비 높은 가격, 고분자 재료로 해결

실내의 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냉방을 가동하는 ‘제습냉방시스템’이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총 40여대가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이 17일 aT센터에서 개최한 집단에너지 경쟁력 강화 세미나에서 이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전하고  제습냉방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높은 단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 중에 있다고 밝혔다.

▲ 이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제습냉방시스템은 제습로터를 이용해 공기를 모아 이를 증발시키면서 실내 중 공기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이대영 박사는 “제습냉방은 일반 에어컨에 비해 2배 이상 높으며 공간도 많이 차지해 소비자들이 선택하기 쉽지 않다”며 “실용화하기 위해선 이 두가지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제습냉방 시스템이 비싼 이유는 제습로터가 고가이기 때문”이라며 “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존의 제습제가 아닌 고분자 제습재료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현재 지역난방공사와 귀뚜라미가 참여해 이 기술을 하이브리드제품으로 적용, 올해 약 40대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이 박사는 밝혔다.

제습냉방은 유지비가 적고 전기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여름철 에어컨 과다 사용에 따른 전력 과부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박사는 “만약 제습냉방이 100만가구에 공급될 경우 8GW의 전력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하절기 전력피크 해결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에너지단가를 적용했을 시 기존 전기식 에어컨에 비해 15%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난방공사는 오는 2013년 상용화를 목표로 제습냉방을 통해 하절기 열병합 발전배열 및 소각폐열 이용율을 향상시켜 열병합발전 보급을 촉진과 전기 에어컨 대비 연간 냉방운영비용을 50%절감시키고 냉난방, 환기 통합설계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창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냉방수요가 많은 저위도 지역에 열병합발전 설비가 수출이 가능하고, 폐열 등 미활용 에너지사용과 친환경 제품으로 세계시장 변화에도 적극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날 세미나에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및 집단에너지 적용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한국전력연구원 김성철 박사는 IGCC(석탄가스화복합발전)에 대해 국제적으로 강화되는 환경규제와 기후협약 등을 고려할 때 성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했다.

김 박사는 “오는 2030년 경이면 IGCC 시장규모는 약 2000억달러가 될 것”이라며 “향후 기술개발 결과에 따라 선진국의 가스화 공정기술 보유사들에 의한 독점 성격을 가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 박사는 IGCC 시장 장애요인으로 선진국의 소수회사에 의한 기술 독점으로 기술진입 장벽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상용급 핵심기술의 자체 확보를 위해서는 20~30년이 소요되고 개발비도 1조원 이상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