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 석유 소비 커 원자재 수입부담 가중

유가 상승 발생 이후 2~3개월에 거쳐 소비자 물가 상승

하반기 원유 수급 안정, 소비자물가 상승압력 낮아질 듯

[에너지플랫폼뉴스 김신 기자]우리나라는 소비 원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이라는 외생 변수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극히 제한적이다.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환율이 상승하면서 내수 석유 물가 부담이 커지자 정부가 지난 해 11월 이후 유류세 인하 조치를 취하는 것이 그마나 유가 방어 수단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회 예산정책처는 최근 발간한 ‘2022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국제유가 10%p 상승은 소비자물가를 0.05%p~0.09%p 끌어 올리는 효과가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하반기 이후 국가별 이동 제한 조치가 완화되면서 대면 소비 회복, 자동차를 이용한 야외활동 증가 등으로 원유 수요가 빠르게 증가중이다.

또한 올해 2월 발생한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사회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원유를 포함한 국제 원자재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반면 원유 공급은 예상보다 적은 OPEC의 증산 규모와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위기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 결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등 원자재 수입가격 상승을 통해 국내 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20년 일평균 석유 소비량이 256만 배럴로 미국 1,718만 배럴, 중국 1,423만 배럴 등에 이어 세계 7위를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 소비 규모가 커서 국제유가가 상승할 경우 석유류 등 공업제품 품목의 수입 원가를 높여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분석이다.

국제유가 10%p 상승은 소비자물가를 0.05%p~0.09%p 상승시키는 효과가 발생되는데 전체 소비자물가 및 상품, 공업제품, 석유류 등 품목별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충격 발생 이후 2~3개월에 거쳐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출처 : 국회 예산정책처]
[출처 : 국회 예산정책처]

특히 석유류 품목의 경우 국제유가 상승 충격 발생시 석유류 물가가 최대 1.8%p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회 예산정책처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는 국내 물가의 상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원유 수급 안정으로 국제유가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압력이 낮아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