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플랫폼뉴스 박병인 기자] 전세계는 기후위기시대를 맞아 에너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는 원자력, 신재생 등 무탄소에너지 보급 확대를 결의한 바 있다.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탄력을 받고 있고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에너지전환분야이다.

다만 정부 정책, 사회적 관심도 등이 에너지전환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에너지효율 강화는 후순위로 밀린 경향이 있다. 물론 에너지전환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에너지 사용 총량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효율성 강화도 탄소를 감축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석유한방울 나지 않는’ 에너지빈국이자 원가에 비해 요금 회수가 적은 구조인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전부터 에너지전환과 함께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 추진해왔다면 한전, 가스공사가 요금 현실화를 이루지 못해 쌓인 막대한 미수금과 적자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이번 11차 전기본 발표를 앞두고 정치, 사회적으로 전원 구성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에너지효율 강화는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에너지 다소비 산업군이 많고 계절별 기온변화도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에너지효율이라는 기본 토대를 쌓지 않고서는 국가적 목표인 2050 탄소중립은 달성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이는 소외계층의 에너지복지향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에너지바우처 등 공급체계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있으나 에너지효율을 증진할 수 있는 기기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을 활용할 필요도 있다.

‘어떻게 공급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소비하는가’도 상당히 중요한 문제인 만큼 11차 전기본 발표를 앞둔 시기 에너지효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플랫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